2022. 12. 7. 14:32ㆍ아름다운세상
고려왕 계보
1.태조 왕건 제1비 제2비 제3비 제4비 제5비 제6비 신혜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후 신정왕후(황보씨) 신성왕후 정덕왕후 <2.혜종> | | | | <3.정종> 대종 욱 __________ 안종 욱 문혜왕후(문원대왕비) <4.광종> 대목왕후 (광종비) | 선의왕후(대종비) |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 <5. 경종> 헌애 / 헌정 / <6.성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헌정+안종욱) |문화왕후-> 원정왕후 <7.목종> <8.현종> |연창궁부인-> 원화왕후 |__________________________| + 원정.원화=왕자없음 |
01. 태조 = 왕건 고려개국
02. 혜종 = 나주호족, 돗자리 대왕, 정종.광종에 의해 왕위 찬탈, 왕규가 혜종을 도움
03. 정종 = 병사
04. 광종 = 과감한 개혁작업, 무리한 호족탄압으로 집권말기엔 피의 숙청감행-공포정치 (1.준비-2.개혁-3.피의숙청), 중앙집권의 토대
혜종의 딸인 경화궁부인을 처로 맏았을만큼 유화적인 인물로 <혜종>과 <정종>사이에서 절충적 역할을 함
딸인 성종의 처 <문덕왕후>는 원래 혜종의 친위세력인 왕규의 처였음
05. 경종 = 경종의 화합정책-복수법으로 인한 피바람, 황보씨 세력의 확대
06. 성종 = 광종의 딸 문덕왕후의 남편, 사위자격으로 왕위 계승 (문덕왕후는 본래 왕규의 처로 딸을 낳은 상태, 외족들의 정치적 묵계)
거란의 1차 침입, 서희의 강동6주, 한언공에 의핸 대장경 도입과 불경사업의 새로운 전기
최승로의 유교부흥(숭유정책)과 성종의 중앙집권화 성공
07. 목종 = 모후 헌애왕후(경종비)와 김치양의 음모
08. 현종 = 대량원군 시절의 역경, 성종의 딸인 원정.원화를 왕후로 맞음, 성종의 사위자격으로 왕위에 오름
태조의5비 신성왕후의 자인 <안종욱>과 경종의 비 <헌정왕후>와의 불륜으로 태어남
태조의 직계로 대량원군 밖에 없었으므로 성종의 딸들과 혼인하여 사위자격으로 왕위를 계승하게 됨
거란의 2.3차 침입, 강감찬의 구주대첩, 거란과의 평화
제8대 현종 1.원정왕후 2.원화왕후 3.원성왕후 4.원혜왕후 5.원용왕후 | | | <9.덕종><10.정종>(인평왕후) <11.문종> (효사왕후) (경성왕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 (덕종+효사.경성왕후=후사없음) 문종+인평=후사없음 문종+인예왕후 = 제12대 순종, 제13대 선종(-->헌종), 제15대 숙종 |
09. 덕종 = 병약 3년 재위 --- 천리장성 축조작업 시작
10. 정종 = 평화기, 거란과의 외교재기, 1044년 천리장성 완성, 재위 11년 8개월 병사.
11. 문종 = 28세 등극, 37년 재위 - 고려의 황금기를 일굼
문치주의 표방, 송나라와의 외교관계 재개 - 국력의 신장으로 거란과 대등한 위치를 지켰고, 국교도 지속됨
최충 사립학교 설립 - 12학도, 교려사회에 유학 열풍을 일으킴
불교를 통한 왕권강화를 위한 문종의 불교장려 - 3아들이 출가, 의천의 천태종(선종.교종을 아우르는 종파)
의천은 선종과 교종의 대립이 국가의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고 생각하여 천태종을 크게 부흥시킴 = 선불운동
유학을 숭상하고 불교를 이용하여 적절히 귀족세력의 확장을 저지하여 왕권을 크게 강화시킴
문치를 사랑하고 포용력있는 왕도정치를 함, 이자연(경원 이씨 --- 이자겸)과 해동증자 최충
12. 순종 = 3개월만에 병사
13. 선종 = 송.거란.일본 등의 다국적인 외교관계,
거란에 대해 강경자세 - 고려의 국력이 극대화되어 있었음
선종의 제3비 원신궁주의 오빠 이자의 ------ 인주 이씨
14. 헌종 = 그동안의 전례를 깨고 어린 아들 헌종에게 왕위가 양위됨으로 권력이 양분화됨
이자의(외척세력)와 -- 왕실세력과의 왕위쟁탈전
15. 숙종 = 왕의 종친계의 숙종세력과 선종의 외척세력들과의 다툼, 숙종의 세력 승
조카 인종의 왕위 찬탈, 여진족의 성장으로 국제적인 불안 가중,
문종대의 문화황금기 덕택으로 주목할 만한 문화적 성과를 많이 남김
8.현종 - 09.덕종 10. 정종 11. 문종 -- 12.순종 13.선종 -- 14.헌종 15.숙종 -- 16.예종 -- 17.인종+공예왕후 - 18.의종 19.명종 -- 22.강종 -- 23.고종 -- 24.원종 -- 25. 충렬왕 20.신종 -- 21.희종 25.충렬왕 - 26.충선왕 - 27.충숙왕(세자:왕고) - 28.충혜 - 29.충목 | 30. 충정 31.공민왕(충숙왕의 차남) - 32.우왕 - 33.창왕 34.공양왕-고려의 최후, 이성계의 역성혁명, 조선개국 |
제16대 예종 = 여진족의 강성, 중국대륙의 전운, 종기로 44세 졸.----------------------- 이자겸
윤관의 동북지역(여진의) 9성 획득 --> 9성 반환 (ㅠ.ㅠ;;)
제17대 인종 = 14세 등극, 고려조정의 권력암투, 외할아버지이며 장인인 이자겸,
이자겸의 딸들 폐비, 공예왕후 임씨(18.의종, 19.명종, 20.신종)
제18대 의종 = 환관정치, 무신들의 불만고조, 정중부.이의방.이고 등의 반역, 정중부의 반란성공
제19대 명종 = 정중부의 반란으로 40세 등극, 허수아비왕 ---> 이고.채원의 반란 --> 이의방 권력장악 --> 정균 이의방 살해
--> 다시 정중부 권력장악 --> 경대승의 정중부세력 제거(4년) --> 이의민 권력장악(13년)
--> 이의민 최충현 형제에게 살해 --> 명종의 동생 평양공 민으로 왕을 세움
제20대 신종 = 재위기간 6년4개월, 고려사회 최악의 상태, 최씨 무신정권의 장기집권 기반 닦음
금나라의 왕위찬탈 추궁을 위해 왕위를 양위하는 방식으로 바꿈, 재위 6년만에 병사.
제21대 희종 = 신종의 장남, 모든 결정권은 최충헌에게 있어, 무모한 최충헌 제거 계획과 실패, 31세에 강화도 유배
제22대 강종 = (왕오 王梧)명종 맏아들 최충현에 의해 쫓겨났다가 희종이 폐위되면서 왕위에 옹립
제23대 고종 = 강종의 아들, 최씨 무정정권의 안정기, 몽고의 흥기-아시아 국가전체의 전쟁, 몽고족에 쫓긴 거란의 침입
최충헌의 아들 이와 향의 세력싸움 --> 이 勝 --> 몽고의 1.2.3차 침입 --> 팔만대장경
제24대 원종 = 고종을 대신하여 원에 입조 --> 41세 왕위등극 --> 친원정책과 무신정권의 종식 = 원의 내정간섭, 원의 속국
개경환도 후 친몽정책, 삼별초의 난과 몰락, 65세로 졸.
제25대 충렬왕 = 원종의 맏아들, 원의 부마국, 철저한 친원정책, 왕권회복, 원나라에 지나친 의존
충렬왕의 폐행과 아들과의 불화 --> 세자와의 알력 --> 충렬왕이 물러남, 충선왕 등극
제26대 충선왕 = 원 세조 쿠빌라이의 외손인 충선왕, 1298년 24세 등극, 자주적 기틀 마련을 위해 노력
--> 계국대장공주와의 불화 --> 그해8월 원나라에 압송. 충렬왕 아들 충선왕을 제거하려 함(비열!!! ㅠ.ㅠ;;)
--> 원나라에서 성종이 죽고, 무종의 옹립에 공을 세워 충선왕의 힘이 강해짐
--> 1308년 7월 충렬왕을 다시 복위 --> 원나라의 정치에 깊이 관여하여 고려에는 등한시 함
제27대 충숙왕 = 충선왕의 둘째아들, 원나라에서 세를 형성하려는 충선을 대신하여 고려의 왕이 됨
충숙왕의 세력확장을 견재하기 위해 이복형 왕자의 아들 왕고를 세자로 동시에 책봉함으로 항상 위협을 받음
왕고의 왕위찬탈 음모로 충숙왕이 위협받음, 충선왕의 만승회, 충숙왕의 방
제28대 충혜왕 = 충숙왕의 장남, 희대의 패륜아 충혜왕
--> 충숙왕 복위 --> 충숙왕의 졸후, 다시 등극, 부왕의 부인인 서모들의 강간
제29대 충목왕 = 충혜왕의 장남, 병사
제30대 충정왕 = 충혜왕의 둘째, 덕녕공주(충목왕의 모후)와 충정왕의 모후 윤씨의 세력싸움, 왜구의 기승, 폐위
제31대 공민왕 = 충숙왕의 차남, 홍건적의 봉기로 원의 몰락, 공민왕의 개혁정치
제32대 우왕 = 공민왕의 살해, 이인임 일파에 의한 우왕의 즉위, 반야에게서 얻은 공민왕의 장남
제33대 창왕 = 이성계.조민수의 위화도 회군으로 우왕폐위, 조민수 일파에 의해 우왕의 맏아들 창이 왕위에 오름
제34대 공양왕 = 이성계 일파와 정몽주 등의 결탁으로 공양왕이 옹립됨, 이성계와 정도전의 역성혁명, 조선의 개국
도 표
代 | 王 名 | 재 위 년 도 | 재위기간 | 약 사 |
1 | 태조(太祖) 왕건(王建) | 918~943 | 25년 | 이름은 왕건(王建). 신라 궁예의 부하로, 부하에게 옹립되어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
2 | 혜종(惠宗) 왕무(王武) | 943~945 | 2년 | 휘는 무(武). 태조의 맏아들. 대광인 왕규(王規)의 음모에 신경쓰다 병사함. |
3 | 정종(定宗) 왕요(王堯) | 945~949 | 4년 | 왕규의 난을 평정하고 불교를 숭상함. 서경(평양)에 왕성을 쌓고 천도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 |
4 | 광종(光宗) 왕소(王昭) | 949~975 | 26년 |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노비 안검법을 제정하고,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과거제를 실시함. |
5 | 경종(景宗) 왕주(王胄) | 975~981 | 6년 | 휘는 주(인宙). 자는 장민(長民). 광종의 아들. 전시과를 제정함. 방탕한 생활로 정사를 돌보지 않았음. |
6 | 성종(成宗) 왕치(王治) | 981~997 | 16년 | 휘는 치(治). 문물제도를 정비하고, 유교를 국가지도의 원리로 삼아 중앙집권적 봉건제도를 확립함. |
7 | 목종(穆宗) 왕송(王訟) | 997~1009 | 12년 | 휘는 송(誦). 경종의 맏아들. 전시과를 고치고 학문을 장려 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
8 | 현종(顯宗) 왕순(王詢) | 1009~1031 | 22년 | 휘는 순(詢). 천추태후의 강요로 중이 되었다가 강조의 옹립으로 즉위함. 거란의 침입으로 혼란 하였으나, 강화하여 국내가 안정되고 문화가 발전함. |
9 | 덕종(德宗) 왕흠(王欽) | 1031~1034 | 3년 | 휘는 흠(欽). 왕 2년에 천리장성을 쌓고, 국사편찬 사업도 완성함. |
10 | 정종(靖宗) 왕형(王亨) | 1034~1046 | 12년 | 휘는 형(亨).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고, 장자 상속과 적서 구별을 법으로 정하였음. |
11 | 문종(文宗) 왕휘(王徽) | 1046~1083 | 37년 |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많은 법류을 제정하여 내치의 기초를 닦음. 학문을 좋아하고 서예에 능함. |
12 | 순종(順宗) 왕훈(王勳) | 1083 | 1년 | 문종의 맏아들로 즉위한 해에 죽음. |
13 | 선종(宣宗) 왕운(王運) | 1083~1094 | 11년 | 휘는 운(運). 문종의 둘째 아들. 동생인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중국 송나라에서 불경을 연구하고 오는등 고려문화의 융성기를 이룸. |
14 | 헌종(獻宗) 왕욱(王昱) | 1094~1095 | 2년 | 휘는 욱(昱). 즉위하자 이자의(李資義)의 난을 평정하고, 다음해에 신병으로 숙부에게 왕위를 물려줌. |
15 | 숙종(肅宗) 왕옹(王顒) | 1095~1105 | 10년 | 문종의 셋째아들. 조카인 헌종을 폐위 시키고 즉위함. 해동통보를 주조 하여화폐 제도를 시작, 고려의 황금시대를 이룸. |
16 | 예종(睿宗) 왕우(王俁) | 1105~1122 | 17년 | 휘는 우. 학문을 좋아하여 학교를 세우는 등 학문을 크게 진흥 시켰음. |
17 | 인종(仁宗) 왕구(王構) | 1122~1146 | 24년 | 휘는 해(偕). 어린나이로 즉위하여 이자겸의 난,묘청의 난 등을 격었으나 선정을 베품. 김부식에게 삼국사기를 편찬케 함. |
18 | 의종(毅宗) 왕현(王晛) | 1146~1170 | 24년 | 휘는 현(晛). 인종의 맏아들. 무신을 천대하고 문신을 우대하다 정중부(鄭仲夫)의 난이 일어나 폐위되고, 명종3년에 경주에서 살해됨. |
19 | 명종(明宗) 왕호(王晧) | 1170~1197 | 17년 | 휘는 호(皓). 의종의 동생. 정중부의 추대로 즉위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쫏겨남. |
20 | 신종(神宗) 왕탁(王晫) | 1197~1204 | 7년 | 휘는 탁(晫). 인종의 다섯째 아들로 최충헌이 옹립한 왕임. |
21 | 희종(熙宗)왕영(王韺) | 1204~1211 | 7년 | 휘는 영. 신종의 맏아들. 최충헌을 없애려다 오히려 쫏겨남. |
22 | 강종(康宗) 왕오(王梧) | 1211~1213 | 2년 | 휘는숙(璹), 정, 오. 명종의 맏아들. 명종과 함께 쫏겨났다가 최중헌에게 옹립되어 왕위에 오름. |
23 | 고종(高宗) 왕철(王皞) | 1213~1259 | 46년 | 몽고의 침입을 받아 강화로 천도한 뒤 28년동안 항쟁 하였으나 결국 굴복함몽고를 불교의 힘으로 격퇴하기 위하여 팔만대장경을 조판함. |
24 | 원종(元宗) 왕전(王倎) | 1259~1274 | 15년 | 휘는 정(禎). 몽고에 굴욕을 당한 뒤 즉위. 임연(林衍)의 난, 삼별초의 난 등으로 화평한 날이 없었음. |
25 | 충렬왕(忠烈) 왕거(王昛) | 1274~1308 | 34년 | 원(元)나라에 굴복하여, 원의 제국공주를 왕비로 맞아들이는 등 원나라의 지나친 간섭을 받았음. |
26 | 충선왕(忠宣) 왕장(王璋) | 1308~1313 | 5년 | 휘는 장(璋). 몽고 황실의 딸과 결혼하고 1298년 왕위에 올랐으나 7개월만에 충렬왕이 다시 복위. 이후 10년간 원나라에 머물다 다시 즉위, 원나라에서 국정을 봄. 고려와 원나라의 학문교류에 힘을 씀. |
27 | 충숙왕(忠肅) 왕만(王卍) | 1313~30, 32-39 |
24년 | 휘는 도(燾). 정사에 염증을 느껴 아들 충혜왕 에게 양위 하였다가 행실이 좋지 않자 2년만에 복위함. |
28 | 충혜왕(忠慧) 왕정(王禎) | 1330~32, 39-44 |
7년 | 휘는 정(禎). 행실이 좋지 않아 정사를 혼란에 빠뜨렸음. 원나라로 귀양을 가다 병사함. |
29 | 충목왕(忠穆) 왕흔(王昕) | 1344~1348 | 4년 | 휘는 흔(昕). 원나라에 볼모로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함. 어머니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함. |
30 | 충정왕(忠定) 왕저(王眡) | 1348~1351 | 3년 | 휘는 저. 12세에 즉위하여 외가친척인 윤시우(尹時遇)와 배전(裵佺) 등으로 인해 정치가 문란해지고, 왜구의 침입이 잦아 3년만에 폐위됨. |
31 | 공민왕(恭愍) 왕전(王顫) | 1351~1374 | 23년 | 원나라 배척운동을 벌여 친원파인 기(奇)씨 일족을 제거하고,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여 국위를 떨침. 말년에 왕비인 노국공주가 죽자 정사를 그르쳐 최만생(崔萬生)과 홍륜(洪倫)에게 시해 당함. |
32 | 우왕(禑王) 왕우(王禑) | 1374~1388 |
14년 | 공민왕의 아들. 10세에 즉위하나 1388년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에게 폐위됨. |
33 | 창왕(昌王) 왕창(王昌) | 1388~1389 | 2년 | 이성계 등이 우왕을 내쫏은후, 창왕을 내세웠으나 1년만에 강화도로 쫏겨나 10세때 시해됨. |
34 | 공양왕(공양)왕요(王瑤) | 1389~1392 | 3년 | 휘는 요. 이성계 일파에 의해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을 빼앗기고, 정몽주가 살해당한 후 폐위 당하고 고려는 멸망함. |
'아름다운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917 일본역사 연대표 (0) | 2022.12.07 |
---|---|
120917 조선왕조 역사연대표 (0) | 2022.12.07 |
120917 한국과 중국 역사 연대표 (1) | 2022.12.07 |
120917 한국, 세계 역사 연대표 (1) | 2022.12.07 |
120912 고려왕조 34대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