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없는 나라 / 이광재

2024. 4. 15. 11:43Culture

"나라없는나라" 이 얼마나 슬픈 전제인가?

어떠한 심상으로 그는 모든것을 깨치고 일어났던 것인가?

정치의 마지막 봉기는 국민의 봉기다.

깨어나지 않는 젊음은 젊음이 아니라고 했다...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가?  오로지 나하나의 안위만을 위해!

세상의 난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 것이 의미있는 삶인가? 또 고민하게 하는 동학농민운동이다.

전봉준,김개남,손화중 그리고 이철개 김교진...,...! 

을개,갑례,더팔이 등이 등장하여 구국과 사랑이 애절하게 잘 그려진 소설이다...

"이것은 나라가 아니다." 우리에게 나라는 없다."

의미심장한 말이 아닐 수 없다.

이시기 조선은 만연한 빈곤, 사회적 불평등, 지배 엘리트 내부의 부패와 씨름하고 있었습니다. 대외적으로 한국은 제국주의 열강, 특히 일본, 중국, 러시아의 침략을 점점 더 많이 받고 있으며,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놓고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한국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농민들은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크게 겪었습니다. 그들은 과중한 세금, 강제 노동, 그리고 부패한 지방 공무원과 부유한 지주를 포함한 지배계급의 착취에 직면했습니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격차는 농민들 사이에 불만을 불러일으켰고, 혁명 운동의 출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1860년대 한국 서남부 지역의 카리스마적 종교 지도자인 최제우가 주도한 풀뿌리 운동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최제우는 조선 정부의 부패와 탄압에 환멸을 느끼고 자신의 정신적 경험에 영감을 받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 농민의 고통을 덜어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유교, 불교, 한국 무속의 요소를 혼합한 최제우의 가르침은 동학, 즉 '동양학'의 기초를 형성했습니다. 동학은 평등주의 원칙, 사회 정의, 도덕적 순수성을 옹호하며 억압받는 대중에게 희망과 해방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